맨위로가기

고흥 류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흥 류씨는 고려 문종 때 호장을 지낸 류영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류영의 후손인 류청신은 몽골어에 능통하여 충렬왕의 신임을 받아 도첨의정승에 올랐으며, 고이부곡이 고흥현으로 승격되는 데 기여했다. 조선 시대에는 유몽인, 류숙과 같은 인물을 배출했으며, 24명의 문과 급제자를 냈다. 고흥 류씨는 2015년 대한민국 인구주택총조사에서 15,138명으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흥 류씨 - 유관순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서울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을 이끌었으며, 옥중에서도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지만, 삶과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고흥 류씨 - 유동수
    유동수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 공직 및 당직을 거쳐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계양구 갑)으로 당선되어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고흥 류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칭흥양 류씨(興陽柳氏)
나라한국
관향전라남도 고흥군
시조류영(柳英)
중시조류청신(柳淸臣)
2015년 인구73,329명
주요 인물

2. 역사

고흥 류씨는 고려 시대부터 그 역사가 이어진다. 시조 류영과 그의 후손 류청신은 고려 왕조에 헌신하며 가문의 기틀을 다졌다. 특히 류청신은 뛰어난 외교 능력으로 충렬왕의 신임을 얻어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1]

2. 1. 시조 및 기원

고흥 류씨의 시조는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낸 '''류영'''(柳英)이다. 상계는 전하는 문헌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고흥류씨연혁(高興柳氏沿革)》편에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려 고종 때의 인물이라는 기록을 통해, 그가 문종 때의 인물이라 추정할 뿐이다. 그가 먹을 갈아 글씨를 썼다는 연단석(硯端石)과 세답석(洗踏石) 등의 유적을 통해 그가 흥양(興陽)에 세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조의 묘는 경기도 개풍군 미륵산에 있다. 류영의 아들인 류숭제(柳崇濟)와 손자인 류광(柳光)도 호장을 지냈다.

류영의 6세손인 시중공(侍中公) 류승무(柳升茂)와 마찬가지로, 7세손 류청신(柳淸臣)은 장흥부(長興府)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그 선대는 모두 부곡리(部曲吏)를 지냈다. 국가 제도상 부곡리는 비록 공적이 있어도 5품 이상 승진할 수 없었는데, 류청신은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담력이 있었으며 몽골어를 배워 누차 사신을 따라 원나라에 가 응대를 잘 했기 때문에 충렬왕의 신임을 받아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에 오르고, 고이부곡은 고흥현(高興縣)으로 승격되었다.[1]

2. 2. 고려 시대

고흥 류씨의 시조는 고려 문종 때 호장(戶長)을 지낸 '''류영'''(柳英)이다. 상계는 전하는 문헌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고흥류씨연혁(高興柳氏沿革)》편에 류영의 7세손 류청신(柳淸臣)이 고려 고종 때의 인물이라는 기록을 통해, 그가 문종 때의 인물이라 추정할 뿐이다. 그가 먹을 갈아 글씨를 썼다는 연단석(硯端石)과 세답석(洗踏石) 등의 유적을 통해 그가 흥양(興陽)에 세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시조의 묘는 경기도 개풍군 미륵산에 있다. 류영의 아들인 류숭제(柳崇濟)와 손자인 류광(柳光)도 호장을 지냈다.

류영의 6세손인 시중공(侍中公) 류승무(柳升茂)와 마찬가지로, 7세손 류청신(柳淸臣)은 장흥부(長興府) 고이부곡(高伊部曲) 출신으로 그 선대는 모두 부곡리(部曲吏)를 지냈다. 국가 제도상 부곡리는 비록 공적이 있어도 5품 이상 승진할 수 없었는데, 류청신은 어려서부터 영특하고 담력이 있었으며 몽골어를 배워 누차 사신을 따라 원나라에 가 응대를 잘 했기 때문에 충렬왕의 신임을 받아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에 오르고, 고이부곡은 고흥현(高興縣)으로 승격되었다.[1]

3. 본관

고흥(高興)은 전라남도 고흥군에 있는 지명이다. 마한 54국 가운데 초리국(楚離國)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고려 초에는 장흥부의 고이부곡(高伊部曲)이었으나, 1285년(충렬왕 11)에 고흥현(高興縣)으로 승격되어 현감이 파견되었다. 1395년(태조) 보성군(寶城郡) 조양현(兆陽縣)으로 개편되었다가,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 두원현(豆原縣)을 설치하고 보성군 남양현(南陽縣)을 통합하여 흥양현(興陽縣)으로 개편하였다. 1895년(고종 32) 장흥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고흥군이 되었다.

4. 인물

4. 1. 고려

고흥 류씨의 고려 시대 인물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나타나 있지 않다.

4. 2. 조선

4. 3. 근현대

유관순은 독립운동가이다.

4. 4. 현대

5. 과거 급제자

고흥 류씨는 조선시대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등 여러 분야에서 과거 급제자를 배출하였다.[2]

과거 급제자[2]
분야인원
문과24명
무과21명
생원시33명
진사시24명


5. 1. 문과

문과 급제자



고흥 류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4명을 배출하였다.[2]

5. 2. 무과

인물
유대원(柳大元)
유동망(柳東望)
유동수(柳東秀)
유동필(柳東弼)
유동혁(柳東赫)
유봉춘(柳逢春)
유시발(柳時發)
유옥(柳沃)
유위(柳渭)
유윤흥(柳胤興)
유의신(柳義臣)
유잠(柳岑)
유장춘(柳長春)
유종영(柳宗榮)
유중기(柳重起)
유진발(柳震發)
유천문(柳天文)
유춘발(柳春發)
유춘일(柳春日)
유충신(柳忠信)
유호(柳濠)


5. 3. 생원시

이름한자
유경현柳敬賢
유광柳洸
유광익柳光翼
유광천柳光天
유규柳奎
유기현柳基賢
유길柳洁
유동휘柳東輝
유만령柳萬齡
유몽웅柳夢熊
유문염柳文琰
유성柳惺
유성환柳星煥
유수柳譢
유수규柳壽奎
유역柳湙
유영관柳永觀
유운柳𧬪
유은柳溵
유익한柳翊漢
유정섭柳廷燮
유주柳澍
유중구柳重龜
유중환柳中煥
유지후柳之詡
유집柳諿
유철견柳鐵堅
유충량柳忠良
유충홍柳忠弘
유현남柳賢男
유활柳活
유회柳淮
유흥남柳興男

[2]

5. 4. 진사시

고흥 류씨는 조선시대에 진사시에 합격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다음은 진사시에 합격한 고흥 류씨 인물 목록이다.[2]

이름
유간
유광
유구
유규
유동식
유몽인
유문좌
유빈
유삼석
유서
유설
유약
유엄
유영도
유영두
유용
유이택
유인추
유자한
유중식
유한석
유혁
유현남
유호


6. 항렬자

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
◯석(錫)제(濟)‧해(海)◯상(相)‧◯식(植)연(然)‧희(熙)◯규(圭)‧◯균(均)종(鍾)‧현(鉉)◯세(洗)‧◯영(永)내(來)‧동(東)◯열(烈)‧◯섭(燮)재(在)‧시(時)◯옥(鈺)‧◯회(會)태(泰)‧호(浩)◯근(根)‧◯걸(杰)광(光)‧경(炅)◯배(培)‧◯기(基)용(鎔)‧진(鎭)


7. 인구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고흥 류씨는 15,138명, 흥양 류씨는 611명, 고흥 유씨는 52,221명, 흥양 유씨는 5,359명으로 총 73,329명이다.

참조

[1] 문서 『고려사』 권125, 열전38, 간신1 http://terms.naver.c[...]
[2]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170_054_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